본문 바로가기
업무 꿀팁 모음/엑셀 사용법

🔎📈 HLOOKUP(가로 조회)

by Change Design 2025. 3. 8.

🧩 자주 사용하는 엑셀 명령어

 

HLOOKUP 함수의 구조

 
=HLOOKUP(찾을값, 테이블범위, 행번호, [일치유형])
  • 찾을값: 조회할 값입니다. 첫 번째 행에서 이 값을 찾습니다.
  • 테이블범위: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 범위를 지정합니다.
  • 행번호: 반환하고자 하는 값이 포함된 행의 번호(첫 번째 행이 1부터 시작)입니다.
  • 일치유형:
    • TRUE 또는 생략: 근사치 일치를 찾습니다(정렬된 데이터 필요).
    • FALSE: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.

 

HLOOKUP 함수의 기본 사용 예제

1. 기본 사용 - 정확히 일치예제 데이터:

결과: 100

설명: A1:E5 범위에서 첫 번째 행에서 "월요일"을 찾아, 두 번째 행(판매량) 값을 반환합니다.

=HLOOKUP("월요일", A1:E5, 2, FALSE)

 

2. 근사치 일치예제 데이터:

결과: "B"

설명: 첫 번째 행에서 85를 찾고, 세 번째 행의 값을 반환합니다. 데이터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.

=HLOOKUP(85, A1:E5, 3, TRUE)

 

 

HLOOKUP 함수의 고급 활용 예제

  1. IFERROR와 결합하여 오류 방지설명: "금요일"이 테이블에 없을 경우 "값 없음"을 반환합니다.
     
    =IFERROR(HLOOKUP("금요일", A1:E5, 2, FALSE), "값 없음")
    
  2. 동적 데이터 테이블 사용
    • 테이블 범위를 고정된 값이 아닌 이름으로 설정하면 데이터가 추가되더라도 자동으로 반영됩니다. 예: =HLOOKUP(A1, 테이블이름, 2, FALSE)
  3. 다중 조건 결합 HLOOKUP과 다른 함수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조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특정 날짜의 판매량과 가격의 평균 계산:

설명: 판매량과 가격의 평균을 반환합니다.

=(HLOOKUP("월요일", A1:E5, 2, FALSE) + HLOOKUP("월요일", A1:E5, 3, FALSE)) / 2

 

주의사항

첫 번째 행 기준: HLOOKUP 함수는 항상 첫 번째 행에서 값을 찾습니다.

  1. 정렬: 근사치 일치를 사용할 경우, 첫 번째 행은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.
  2. 대/소문자 구분 없음: HLOOKUP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
  3. 데이터 범위 크기: 지정된 행 번호가 테이블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.

 

HLOOKUP 함수는 데이터가 행 기반으로 정리되어 있을 때 특히 효과적입니다.

'업무 꿀팁 모음 > 엑셀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🔗 CONCATENATE(연결) - 엑셀  (0) 2025.03.08
🔎📊 VLOOKUP(세로 조회)  (0) 2025.03.08
❓ IF 함수 - 엑셀  (0) 2025.03.08
📉 MIN 함수 - 엑셀  (0) 2025.03.08
📈 MAX 함수 - 엑셀  (0) 2025.03.08